돈을 모으고 싶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 저축의 기본 원칙과 실천 방법을 소개합니다.
사회 초년생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저축 3단계 비법과 예금 및 적금의 차이 통장 종류 별도 확인 해보자
저축 3단계 실천법
- 모으기
월급이나 소득의 일정 부분을 먼저 저축하는 것이 중요하다. '선저축 후소비' 원칙을 지키자! 매월 급여일에 자동이체로 일정 금액을 저축 통장에 옮겨두면 돈이 자연스럽게 모인다. (예를 들어 월 소득의 10%를 저축으로 설정해보자) - 절약
고정 지출이라고 생각했던 항목들을 점검해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자. '작은 지출이 큰 저축이 된다'는 점을 기억자. 커피, 외식, 온라인 구독 서비스 등을 재점검해 절약할 수 있는 항목을 찾아보고 고정비를 제외한 변동비를 찾아 절약 혹은 축소 하는 습관을 길들어야 한다. “하루에 커피값 3,000원을 아끼면 한 달에 9만 원, 1년에 108만 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.” - 굴리기
모은 돈을 다양한 방식으로 불리는 것도 중요하다. 예금, 적금, 펀드, ETF 등 자신의 재테크 목표에 맞는 방법을 선택해보자. 예금은 안정성이 높고, 적금은 소액을 꾸준히 모으기에 접합하다.
예금과 적금의 차이점, 나에게 맞는 선택은?
- 예금: 이미 목돈이 있는 경우라면 예금이 적합합니다. 예금을 통해 일정 기간 동안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.
- 적금: 일정한 소득이 있고 매월 저축을 시작하는 경우 적금이 적합합니다. 적금을 통해 저축 습관을 기를 수 있습니다.
- 한가지 팁은 목돈이 있다면 예금을 보다는 새롭게 시작하는 적금을 추천한다.
통장 종류별 꿀팁
- 청약통장
청약통장은 주택 구매를 계획 중인 분들에게 필수이다. 세금 감면 혜택과 주택 청약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. 매월 10만 원씩 저축하면 혜택을 최대로 누릴 수 있습니다. - 파킹통장
단기간 자금을 맡기기에 적합하며, 높은 이자와 자유로운 입출금이 가능하다 일시적인 비상금 운용에 활용해 보자. - 월급통장
월급 통장은 급여가 입금되자마자 자동으로 일정 금액을 저축 통장으로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 수수료 혜택이 있는 상품을 선택 해보자.
실천하기 쉬운 저축 꿀팁
- 작은 목표부터 시작하세요. 매월 10만 원을 저축하는 작은 습관이 큰 성과로 달성 할것이며
- 다양한 통장을 활용해 돈의 목적별로 관리하자.
- '지출을 줄이고, 소득의 일정 부분을 저축으로'라는 원칙을 지켜보자.
돈을 모으는 습관은 단기간의 성과가 아닌 장기적인 성공으로 이어집니다. 지금 바로 실천 가능한 저축 계획을 세워보세요!
다음 번에는 #저축에서 모으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.
오늘도 화이팅